리눅스에서 파일의 라인 수를 조회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. 'wc' 명령어를 활용하여 이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. 여기서는 'wc' 명령어를 이용하여 리눅스에서 파일의 라인 수를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기본 사용법
'wc'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의 라인 수를 조회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. 아래의 예시를 통해 확인해보세요.
wc -l filename.txt
위 명령은 'filename.txt' 파일의 라인 수를 출력합니다.
여러 파일 동시에 처리하기:
'wc' 명령어를 활용하여 여러 파일의 라인 수를 동시에 조회할 수도 있습니다.
wc -l file1.txt file2.txt
표준 입력 사용하기
또한 'wc' 명령어를 통해 표준 입력을 받아 라인 수를 조회할 수도 있습니다. 이는 다른 명령어의 출력을 파이프로 연결하여 사용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.
예를 들어,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수를 세어볼 수 있습니다.
ls -l | wc -l
사실, wc 명령어는 라인 수만 계산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. 아래 링크에는 wc로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. 참고해 주세요.
- wc를 사용하여 디렉토리의 항목 수 계산
- wc를 사용하여 숨겨진 문자 감지
- wc를 사용하여 파일 크기 가져오기
https://www.redhat.com/sysadmin/linux-wc-command
3 surprising things you can do with the Linux wc command
You can use the wc command to count a file's word, line, character, or byte count. But those aren't the only system tasks it can handle.
www.redhat.com
또한, 리눅스 wc 명령어의 매뉴얼을 확인하시려면 아래 manual 페이지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.
https://man7.org/linux/man-pages/man1/wc.1.html
wc(1) - Linux manual page
wc(1) — Linux manual page WC(1) User Commands WC(1) NAME top wc - print newline, word, and byte counts for each file SYNOPSIS top wc [OPTION]... [FILE]... wc [OPTION]... --files0-from=F DESCRIPTION top Print newline, w
man7.org
이번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파일의 라인 수를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'wc' 명령어를 활용하면 파일의 라인 수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, 리눅스 작업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
'텍스트 처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i로 텍스트 파일 편집하는 방법: vi 명령어 가이드 (0) | 2024.04.01 |
---|